맨위로가기

히틀러 내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틀러 내각은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출범한 독일 정부 내각이다. 초기에는 나치당과 보수 세력이 연립하여 구성되었으나, 나치당이 권력을 강화하면서 당원 중심의 내각으로 재편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총리 아돌프 히틀러, 부총리 프란츠 폰 파펜, 외무대신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선전부 장관 요제프 괴벨스, 내무대신 하인리히 힘러 등이 있었으며, 2차 세계 대전 발발 후 전시 내각으로 전환되었다.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히틀러 내각은 범죄 조직으로 기소되었으나, 개별 구성원들이 전쟁 범죄로 기소되어 처벌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국 국가내각 - 플렌스부르크 정부
    플렌스부르크 정부는 2차 세계 대전 말기 아돌프 히틀러 사후 카를 되니츠가 이끈 독일의 잠정 정부로, 서방 연합군과의 부분 항복을 시도했으나 연합군에 의해 해산되었으며 나치 정권 잔재 존속 등의 책임으로 비판받았지만 전후 독일 질서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독일국 국가내각 - 괴벨스 내각
    괴벨스 내각은 1945년 4월 30일 히틀러 자살 직후 괴벨스를 총리로 구성된 나치 독일의 단명 내각으로, 되니츠, 보어만 등 핵심 인사와 기존 관료들이 참여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직전 나치 정권의 몰락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 아돌프 히틀러 - 독일 노동자당
    독일 노동자당은 1919년 뮌헨에서 창당되어 범게르만주의와 민족주의를 추구했으며, 아돌프 히틀러가 입당한 후 1920년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 아돌프 히틀러 - 뮌헨 폭동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당이 1923년 11월 8일부터 9일까지 바이에른 주 정부를 전복하려 시도한 쿠데타인 뮌헨 폭동은 실패로 끝났으나 나치당의 인지도를 높이고 히틀러의 정치적 부상에 기여했으며 나치즘의 잔혹성과 독일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재평가된다.
  • 나치 독일 - 뮌헨 폭동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나치당이 1923년 11월 8일부터 9일까지 바이에른 주 정부를 전복하려 시도한 쿠데타인 뮌헨 폭동은 실패로 끝났으나 나치당의 인지도를 높이고 히틀러의 정치적 부상에 기여했으며 나치즘의 잔혹성과 독일 민주주의의 취약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재평가된다.
  • 나치 독일 - 돌격대
    돌격대는 제1차 세계 대전 독일군 소규모 돌격대에서 시작하여 나치당의 정치적 폭력 수단으로 발전했으나, '긴 칼의 밤' 사건 이후 쇠퇴하고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해산된 조직이다.
히틀러 내각
개요
내각 명칭히틀러 내각
다른 명칭국가 구원 제국 내각
내각 유형내각
대수21대
관할권바이마르 공화국 (1933년 3월 23일까지)
나치 독일의 첫 번째 내각 (1933년 3월 23일부터)
국기[[파일:Flag of the German Reich (1935–1945).svg|border|50px]]
존속 기간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12년 3개월)
1933년 내각 첫 회의
1933년 내각 첫 회의
정부 수반아돌프 히틀러
정부 수반 이력야당 당수
국가 원수파울 폰 힌덴부르크 (1933년 1월 30일 – 1934년 8월 2일, 대통령)
아돌프 히틀러 (1934년 8월 2일 – 1945년 4월 30일, 총통)
정부 부수반프란츠 폰 파펜 (1933년 1월 30일 – 1934년 8월 7일)
정당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입법부 현황연립 소수 정부 (1933년 1월 - 3월): 247/584 (42%)
연립 다수 정부 (1933년 3월 - 7월): 340/648 (52%)
단독 합법 정당 (1933년 7월부터)
이전 내각폰 슐라이허 내각
다음 내각게오르크 폰 크로지크 내각
정치적 구성
연립 정당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독일 국가인민당 (1933년 1월 30일 – 1933년 6월 27일, 1933년 6월 27일에 해산)
의회 내 현황1933년 3월: 247/584석 (42%)
1933년 3월 ~ 7월: 340/648석 (52%)
1933년 7월 이후: 국민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단독
반대 정당중앙당 (1933년 1월 30일 – 1933년 7월 5일, 1933년 7월 5일에 해산)
독일 공산당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1933년 3월 6일에 공식적으로 금지)
독일 사회민주당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1933년 6월 23일에 공식적으로 금지)
야당 지도자루트비히 카스 (1933년 1월 30일 – 1933년 7월 5일)
에른스트 텔만 (1933년 1월 30일 – 1944년 8월 18일)
발터 울브리히트 (1933년 3월 6일 – 1945년 4월 30일, 망명 독일 공산당 지도자)
아르투어 크리스피엔 (1933년 1월 30일 – 1933년 6월 23일)
오토 벨스 (1933년 1월 30일 – 1939년 9월 16일, 1933년 6월 23일부터 망명 독일 사회민주당 의장)
한스 포겔 (1933년 1월 30일 – 1945년 4월 30일, 1933년 6월 23일부터 망명 독일 사회민주당 의장)
선거1933년 3월
1933년 11월
1936년
1938년
이전 선거1932년 11월
입법 기간바이마르 공화국의 8대 국회 / 나치 독일의 1대 국회
주요 인물
총리아돌프 히틀러
부총리프란츠 폰 파펜
외무부 장관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내무부 장관빌헬름 프리크
재무부 장관요한 루트비히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경제부 장관알프레트 후겐베르크
쿠르트 슈미트
얄마르 샤흐트
헤르만 괴링
발터 풍크
노동부 장관프란츠 젤테
법무부 장관프란츠 귀르트너
프란츠 슐레겔베르거 (대행)
오토 게오르크 티라크
군사부 장관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빌헬름 카이텔
국가방위부 장관빌헬름 카이텔
우편부 장관파울 폰 엘츠뤼베나흐 남작
빌헬름 오네조르게
교통부 장관파울 폰 엘츠뤼베나흐 남작
율리우스 도르프뮐러
식량부 장관알프레트 후겐베르크
리하르트 발터 다레
헤르베르트 바케
홍보부 장관요제프 괴벨스
항공부 장관헤르만 괴링
교육부 장관베른하르트 루스트
교회 업무부 장관한스 커를
헤르만 무흐스
군수물자부 장관프리츠 토트
알베르트 슈페어
점령지부 장관알프레트 로젠베르크
보호령 장관카를 헤르만 프랑크
무임소 장관한스 프랑크
오토 마이스너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마르틴 보어만
한스 라머스

2. 역사적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독일은 바이마르 공화국 체제하에서 극심한 정치적, 경제적 혼란을 겪었다. 대공황의 여파로 실업률이 급증하고 사회 불안이 심화되면서, 극우 및 극좌 세력이 득세하였다.

1933년 총선에서 승리한 후, 히틀러는 국가수상으로 임명되었다. 이 과정에서 프란츠 폰 파펜은 내각 내 나치 장관의 수를 제한하여 히틀러를 통제하려 했다. 처음에는 헤르만 괴링빌헬름 프리크만이 유일한 나치 장관이었다. 또한, DNVP의 수장인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경제 및 농업 부서를 맡아 내각에 합류했는데, 이는 후겐베르크가 히틀러의 균형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초기 내각은 바이마르 헌법 제48조에 따른 대통령에게 부여된 비상 권한을 근거로 통치했으며, 국회의 과반수 투표를 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회식"이 아닌 "대통령 중심"이었다.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은 대중의 불만을 이용하여 급속히 세력을 확장했다. 나치당은 민족주의, 반유대주의, 반공주의 등을 내세우며 지지 기반을 넓혀갔다.

히틀러가 국가수상으로 임명되는 과정에서 프란츠 폰 파펜은 내각 내 나치 장관의 수를 제한하여 히틀러를 통제하려 했다. 헤르만 괴링빌헬름 프리크만이 나치 장관이었다. 독일 민족주의 우파 내각 구성을 원했던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는 데 망설였으나, 힌덴부르크의 아들 오스카의 도움을 받아 결국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했다.

히틀러 내각은 바이마르 헌법 제48조에 따른 대통령 비상 권한을 근거로 통치했다. 1933년 수권법 통과 이후 내각은 입법부나 대통령의 동의 없이 법을 제정할 수 있게 되었고, 히틀러는 사실상 독재자가 되었다.

1932년 총선에서 나치당은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프란츠 폰 파펜은 국가수상으로 임명되는 것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내각 내 나치 장관의 수를 제한하여 히틀러를 통제하려 했다. 처음에는 헤르만 괴링(무임소)과 빌헬름 프리크(내무)가 유일한 나치 장관이었다. 또한, DNVP의 수장인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국가 및 프로이센의 경제 및 농업 부서를 맡아 내각에 합류하도록 유도되었는데, 이는 후겐베르크가 히틀러의 균형추 역할을 하고 그를 통제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사회민주당이나 중앙당의 참여 없이 독일 민족주의 우파 내각을 원했다. 힌덴부르크는 파펜에게 의지했지만,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는 데는 망설였다. 파펜은 힌덴부르크의 아들 오스카의 도움을 받아 힌덴부르크에게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히틀러가 집권한 지 두 달 만에 통과된 1933년 수권법은 입법부의 동의나 힌덴부르크의 서명 없이 내각이 법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사실상 칙령으로 통치하는 권한은 히틀러에게 부여되었고, 실질적으로 그는 독재자가 되었다.

2. 1. 바이마르 공화국의 위기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독일은 바이마르 공화국 체제하에서 극심한 정치적, 경제적 혼란을 겪었다. 대공황의 여파로 실업률이 급증하고 사회 불안이 심화되면서, 극우 및 극좌 세력이 득세하였다.

1933년 총선에서 승리한 후, 히틀러는 국가수상으로 임명되었다. 이 과정에서 프란츠 폰 파펜은 내각 내 나치 장관의 수를 제한하여 히틀러를 통제하려 했다. 처음에는 헤르만 괴링빌헬름 프리크만이 유일한 나치 장관이었다. 또한, DNVP의 수장인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경제 및 농업 부서를 맡아 내각에 합류했는데, 이는 후겐베르크가 히틀러의 균형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초기 내각은 바이마르 헌법 제48조에 따른 대통령에게 부여된 비상 권한을 근거로 통치했으며, 국회의 과반수 투표를 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회식"이 아닌 "대통령 중심"이었다.

2. 2. 나치당의 부상

1933년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은 대중의 불만을 이용하여 급속히 세력을 확장했다. 나치당은 민족주의, 반유대주의, 반공주의 등을 내세우며 지지 기반을 넓혀갔다.

히틀러가 국가수상으로 임명되는 과정에서 프란츠 폰 파펜은 내각 내 나치 장관의 수를 제한하여 히틀러를 통제하려 했다. 헤르만 괴링빌헬름 프리크만이 나치 장관이었다. 독일 민족주의 우파 내각 구성을 원했던 파울 폰 힌덴부르크는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는 데 망설였으나, 힌덴부르크의 아들 오스카의 도움을 받아 결국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했다.

히틀러 내각은 바이마르 헌법 제48조에 따른 대통령 비상 권한을 근거로 통치했다. 1933년 수권법 통과 이후 내각은 입법부나 대통령의 동의 없이 법을 제정할 수 있게 되었고, 히틀러는 사실상 독재자가 되었다.

2. 3. 히틀러의 총리 임명

1932년 총선에서 나치당은 제1당이 되었으나, 과반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프란츠 폰 파펜은 국가수상으로 임명되는 것을 중개하는 과정에서 내각 내 나치 장관의 수를 제한하여 히틀러를 통제하려 했다. 처음에는 헤르만 괴링(무임소)과 빌헬름 프리크(내무)가 유일한 나치 장관이었다. 또한, DNVP의 수장인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국가 및 프로이센의 경제 및 농업 부서를 맡아 내각에 합류하도록 유도되었는데, 이는 후겐베르크가 히틀러의 균형추 역할을 하고 그를 통제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었다.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사회민주당이나 중앙당의 참여 없이 독일 민족주의 우파 내각을 원했다. 힌덴부르크는 파펜에게 의지했지만,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는 데는 망설였다. 파펜은 힌덴부르크의 아들 오스카의 도움을 받아 힌덴부르크에게 히틀러를 수상으로 임명하도록 설득했다.

그러나, 히틀러가 집권한 지 두 달 만에 통과된 1933년 수권법은 입법부의 동의나 힌덴부르크의 서명 없이 내각이 법을 만들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다. 사실상 칙령으로 통치하는 권한은 히틀러에게 부여되었고, 실질적으로 그는 독재자가 되었다.

3. 권력 장악 과정

3. 1. 초기 연립 내각

1933년 1월 30일, 아돌프 히틀러가 수상에 임명되면서 히틀러 내각이 출범했다. 초기 내각에서 나치당원 각료는 빌헬름 프리크 내무부 장관과 헤르만 괴링 무임소 장관 단 두 명뿐이었다. 프란츠 폰 파펜 부수상 겸 프로이센 자유주 수상을 비롯한 국가인민당 등 보수 세력이 내각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나치당은 정권 장악을 위한 핵심 요직을 차지하기 시작했다. 특히, 헤르만 괴링은 프로이센 자유주의 내무 장관을 맡아 경찰력을 장악하며 권력 기반을 강화했다.

3. 2. 국회 해산과 탄압

3. 3. 수권법 통과와 독재 체제 확립

4. 내각의 구성 및 변화

육군 최고 사령관,
나치당 지도자1933년 - 1945년 (자살)부총리11프란츠 폰 파펜70px무소속프로이센총독 겸임전 총리
1933년 - 1934년 (사임)외무 대신11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대장1933년 - 1938년 2월 4일 해임12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주영국 대사, 친위대 대장1938년 - 1945년내무 대신18빌헬름 프리크70px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당 국회의원 단장1933년 - 1943년 8월 20일 해임19하인리히 힘러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전국 지도자,
전 독일 경찰청장1943년 - 1945년 (해임)재무 대신13루트비히 슈베린 폰 크로시크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1933년 - 1945년법무 대신14프란츠 귈트너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1933년 - 1941년 1월 29일 (사망)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법무 차관법무 대신 대행 (1941년 - 1942년)15오토 게오르크 티에락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인민 법정 장관1942년 - 1945년국방 대신5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국방군 최고 사령관1933년 - 1938년 2월 27일 해임(국방성 폐지)1938년 폐지국방군 최고 사령부 총장
(1938년 신설)1빌헬름 카이텔
70px
무소속
육군 원수내각 비밀 평의회 고문관,
국방 각료 회의 의원1938년 - 1945년경제 대신14알프레트 후겐베르크70px독일 국가 인민당독일 국가 인민당 당수, 국회의원
농업・식량 대신 겸임1933년 - 동년 6월 29일 사임15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1933년 - 1935년 1월 31일 해임16히알마르 샤흐트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라이히스방크 총재1935년 - 1937년 11월 26일 사임17헤르만 괴링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국가 원수, 항공 대신・공군 최고 사령관 겸임1937년 - 1938년 1월 15일 사임18발터 퓅크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라이히스방크 총재1938년 - 1945년노동 대신8프란츠 젤테
|70px]]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국회의원, 돌격대 대장1933년 - 45년운수 대신12파울 폰 엘츠-뤼베나흐
70px
무소속
남작우정 대신 겸임1933년 - 1937년 2월 1일 해임13율리우스 도르프뮐러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1937년 - 1945년우정 대신5파울 폰 엘츠-뤼베나흐무소속
남작운수 대신 겸임1933년 - 1937년 2월 1일 해임6빌헬름 오네조르게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1937년 - 1945년농업

식량 대신11알프레트 후겐베르크70px독일 국가 인민당독일 국가 인민당 당수, 경제 대신 겸임1933년 - 동년 6월 29일 사임12리하르트 발터 다레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전국 농민 지도자,
친위대 대장1933년 - 1944년 (1942년 5월 23일부터 병 휴직)13헤르베르트 바케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전국 농민 지도자,
친위대 대장1944년 - 1945년국민 계몽

선전 대신 (1933년 3월 13일 신설)1요제프 괴벨스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선전 전국 지도자, 베를린대관구 지도자1933년 - 1945년항공 대신 (1933년 5월 5일 신설)1헤르만 괴링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국가 원수, 공군 최고 사령관1933년 - 1945년 4월 23일 해임과학

교육

국민 문화 대신
(1934년 5월 1일 신설)1베른하르트 루스트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남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대관구 지도자1934년 - 1945년종교 대신
(1935년 7월 16일 신설)1한스 케를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국회 제1부의장, 돌격대 대장1935년 - 1941년 12월 14일 (재임 중 사망)헤르만 무스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종교성 차관1941년 - 1945년 종교 대신 대행군수 대신
(1940년 3월 17일-1943년: 병기・탄약 대신,
1943년-1945년: 군비・전시 생산 대신)1프리츠 토트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돌격대 대장, 공군 소장1940년 - 1942년 2월 8일 (재임 중 사망)2알베르트 슈페어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제국 수도 건설 총감1942년 - 1945년동부 점령 지역 대신 (1941년 12월 17일 신설)1알프레트 로젠베르크70px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대외 정책 전국 지도자1941년 - 1945년제국 무임소 대신align="right" |헤르만 괴링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프로이센 자유주 내무 대신→동주 총리1933년 (→경제 대신・항공 대신)align="right" |루돌프 헤스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대장, 당 부총통1933년 - 1941년align="right" |에른스트 룀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돌격대 참모장1933년 - 1934년 (살해)align="right" |한스 케를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돌격대 대장,
국회 제1부의장1934년 - 1935년 (→종교 대신)align="right" |한스 프랑크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사법 전국 지도자,
폴란드 총독,1934년 - 1942년align="right" |히알마르 샤흐트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전 경제 대신, 전 라이히스방크 총재1937년 - 1943년align="right"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대장, 전 외무 대신,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초대 총독1938년 - 1945년align="right"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대장, 전 오스트리아 총리, 네덜란드 국가 변무관1938년 - 1945년align="right" |마르틴 보르만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대장, 당 관방장1941년 - 1945년
제국 대신 대우align="right" |빌헬름 프리크
|70px]]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전 내무 대신,
당 국회의원 단장,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제2대 총독1943년 - 1945년align="right" |콘스탄틴 히어를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명예 육군 소장,
노동 전국 지도자 겸임1943년 - 1945년align="right" |한스 하인리히 라머스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대장,
총리 관방장 겸임1937년 - 1945년



;국무 대신

상술한 대신은 "Reichsminister"(대신, 국가 대신, 제국 대신, 라이히 대신 등으로 번역됨)라고 불리는 상급의 대신직이었다. 독일 정부에는 이 외에, 영국의 각외 대신에 상당하는 하위의 대신직이 존재하며, "Staatsminister"(국무 대신, 국무상 등으로 번역됨)이라고 불렸다. 이 지위에 있었음이 확인되는 것은 아래의 2명이다. 단, 그들은 "Staatsminister im Rang eines Reichsministers" 즉, "각료 대우 국무 대신"으로 위치지어졌다.

직책성명소속 정당담당 부문비고
각료 대우 국무 대신align="right" |카를 헤르만 프랑크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친위대 대장,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담당1943년 8월 20일 취임
align="right" |오토 마이스너
70px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지도자 겸 총리의 대통령 관방장1937년 1월 30일 취임


4. 1. 초기 구성원

히틀러 내각은 1933년 1월 30일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구성되었다.[13] 초기 내각은 나치당 뿐만 아니라 독일 국가인민당과 무소속 등 여러 정치 세력이 참여한 연립 내각 형태였다.[13]

주요 구성원으로는 총리 아돌프 히틀러(나치당), 부총리 프란츠 폰 파펜(무소속), 내무장관 빌헬름 프리크(나치당), 외무장관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무소속), 재무장관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시크(무소속), 법무장관 프란츠 귈트너(독일 국가 인민당), 국방장관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무소속), 경제장관 및 농업·식량부 장관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독일 국가 인민당), 노동장관 프란츠 젤테(독일 국가 인민당), 교통장관 및 우정장관 파울 폰 엘츠 뤼베나흐(무소속) 등이 있었다.[13] 또한, 헤르만 괴링은 초기에는 무임소 장관이었으나, 이후 항공 장관을 역임했다.[13]

4. 2. 나치당 중심의 재편

1933년 히틀러 내각이 성립된 이후, 나치당은 권력을 점차 강화해 나갔다. 비나치당원 각료들은 점차 제거되거나 영향력을 잃었다. 요제프 괴벨스는 1933년 3월 국민계몽선전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선전을 총괄하게 되었다. 헤르만 괴링은 1933년 5월 항공부 장관직을 맡았고, 1935년 3월에는 공군 사령관직을 추가로 맡았다. 하인리히 힘러는 1943년 8월 빌헬름 프리크의 뒤를 이어 내무부 장관이 되었다.

프란츠 젤테는 1933년 4월 독일 국가 인민당을 떠나 나치당에 입당했다. 1933년 6월, 알프레트 후겐베르크의 뒤를 이어 쿠르트 슈미트가 경제부 장관이, 리하르트 발터 다레가 식량농업부 장관이 되었다. 1934년 8월, 프란츠 폰 파펜 부총리가 내각에서 물러났고, 새로운 부총리는 임명되지 않았다. 같은 달 히알마르 샤흐트가 슈미트의 뒤를 이어 경제부 장관이 되었다.

1937년 1월, 블롬베르크, 프리치, 귈트너, 크로지크, 마이스너, 노이라트, 레더, 샤흐트는 황금 정당 배지를 수여받고 나치당에 입당했다. 엘츠-뤼베나흐는 이를 거부하고 사임을 강요당했다. 1938년 2월, 발터 푕크가 괴링의 뒤를 이어 경제부 장관이 되었고,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가 노이라트를 대신하여 외무부 장관이 되었다.

4. 3. 전시 내각으로의 전환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히틀러 내각은 전시 체제로 전환되었다. 전쟁 수행을 위해 군사 및 전쟁 관련 부처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특히 1940년 프리츠 토트가 병기탄약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1942년에는 알베르트 슈페어가 그의 뒤를 이어 병기탄약부 장관이 되었다. 1943년 9월에는 슈페어의 권한이 확대되어 병기 및 전쟁 생산부 장관으로 승격되었다.

1941년 12월에는 헤르만 무스가 사망한 한스 케를을 대신해 교회부 장관 대행을 맡았다. 1942년 5월, 헤르베르트 바케가 장기간 휴가를 떠난 리하르트 발터 다레를 대신하여 식량농업부 장관 대행이 되었으며, 1944년 4월 정식 장관이 되었다. 같은 해 8월에는 오토 게오르크 티어라크가 프란츠 슐레겔베르거의 뒤를 이어 법무부 장관이 되었다.

1943년 1월, 카를 되니츠에리히 레더를 대신하여 해군 사령관이 되면서 내각 직위를 부여받았다. 같은 해 8월, 하인리히 힘mler가 빌헬름 프리크를 대신하여 내무부 장관이 되었고, 프리크는 무임소 장관으로 남았다. 또한 콘스탄틴 히에를과 카를 헤르만 프랑크가 각각 무임소 장관과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 담당 국무장관으로 내각에 합류했다.

5. 주요 각료 및 역할

아돌프 히틀러1933년 1월 30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독일국 총리로 임명되었으며,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지도자였다. 그는 1934년부터 총리와 당의 지도자를 겸임하는 형태의 총통이 되었고, 1938년부터는 국방군 최고 사령관, 1941년부터는 육군 최고 사령관이 되어 정부 직책 외에도 군의 직책을 맡게 되었다. 히틀러는 1945년 스스로 목숨을 끊을 때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아돌프 히틀러


프란츠 폰 파펜히틀러 내각에서 부총리를 맡았다. 무소속이었으나, 전에는 중앙당 소속이었고, 이후 나치당에 입당했다. 남작 작위를 가진 퇴역 육군 중령 출신이며, 총리를 역임한 경력이 있다. 또한 프로이센 총독을 겸임했다. 1933년부터 1934년까지 부총리직을 수행하다가 사임하였다.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는 1933년부터 1938년까지 외무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 당원이었으며(입각 당시에는 무소속, 1937년 입당), 남작 작위를 가지고 있었다. 친위대 대장 직책도 겸임하였다. 1938년 외무대신에서 해임된 후에는 무임소 대신이 되었고, 1939년부터 1943년까지 보헤미아-모라비아 보호령의 총독을 맡았다.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1938년부터 1945년까지 외무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주영국 대사, 친위대 대장 직책을 겸임하였다.

빌헬름 프리크는 1933년부터 1943년까지 내무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당 국회의원 단장을 맡았다.

하인리히 힘러는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내무대신을 역임하였다. 나치당 당원이었으며(1923년까지는 바이에른 인민당 당원), 친위대 전국 지도자 및 전 독일 경찰청장을 겸임했다. 1944년부터는 독일 국방군의 국내 예비군 사령관도 맡았다.

루트비히 슈베린 폰 크로시크는 1933년부터 1945년까지 재무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재무 관료, 입각 당시에는 무소속, 1937년 입당), 백작 작위를 가지고 있었다.

프란츠 귈트너는 1933년부터 1941년 사망할 때까지 법무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1937년 입당. 1933년까지는 독일 국가 인민당 소속),

Franz Schlegelbergerde는 1941년부터 1942년까지 법무대신 대행을 맡았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법무 차관이었다.

오토 게오르크 티에락은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법무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인민 법정 장관을 맡았다.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는 1933년부터 1938년까지 국방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1937년 입당), 육군 원수였다. 국방군 최고 사령관을 겸임하였다. 1938년에 국방성이 폐지되었다.

빌헬름 카이텔은 1938년 신설된 국방군 최고 사령부 총장을 1945년까지 역임하였다. 무소속이었으며, 육군 원수였다. 내각 비밀 평의회 고문관, 국방 각료 회의 의원을 겸임하였다.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1933년 경제대신을 역임하였다. 독일 국가 인민당 당원이었으며(1933년 당 해산에 따라 탈당), 독일 국가 인민당 당수, 국회의원, 농업・식량 대신을 겸임하였다. 1933년 6월 29일 사임하였다.

Kurt Schmittde는 1933년부터 1935년까지 경제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다.

히알마르 샤흐트는 1935년부터 1937년까지 경제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1937년 입당. 전 독일 민주당 당원), 라이히스방크 총재를 겸임하였다.

헤르만 괴링은 1937년부터 1938년까지 경제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국가 원수, 항공 대신・공군 최고 사령관을 겸임하였다.

발터 퓅크는 1938년부터 1945년까지 경제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라이히스방크 총재를 겸임하였다.

프란츠 젤테는 1933년부터 1945년까지 노동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전 독일 인민당 당원), 국회의원, 돌격대 대장을 맡았다.

파울 폰 엘츠-뤼베나흐는 1933년부터 1937년까지 운수대신을 역임하였다. 무소속이었으며, 남작 작위를 가지고 있었다. 우정대신을 겸임하였다.

율리우스 도르프뮐러는 1937년부터 1945년까지 운수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다(1941년 입당).

파울 폰 엘츠-뤼베나흐는 1933년부터 1937년까지 우정대신을 역임하였다. 무소속이었으며, 남작 작위를 가지고 있었다. 운수대신을 겸임하였다.

빌헬름 오네조르게는 1937년부터 1945년까지 우정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다.

알프레트 후겐베르크는 1933년 농업・식량대신을 역임하였다. 독일 국가 인민당 당원이었으며, 독일 국가 인민당 당수, 경제 대신을 겸임하였다. 1933년 6월 29일 사임하였다.

리하르트 발터 다레는 1933년부터 1944년까지 농업・식량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전국 농민 지도자, 친위대 대장을 겸임하였다. 1942년 5월 23일부터 병으로 휴직하였다.

헤르베르트 바케는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농업・식량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전국 농민 지도자, 친위대 대장을 겸임하였다.

요제프 괴벨스는 1933년 신설된 국민 계몽・선전 대신을 1945년까지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선전 전국 지도자, 베를린대관구 지도자를 겸임하였다.

헤르만 괴링은 1933년 신설된 항공 대신을 1945년까지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국가 원수, 공군 최고 사령관을 겸임하였다. 1945년 4월 23일 해임되었다.

베른하르트 루스트는 1934년 신설된 과학・교육・국민 문화 대신을 1945년까지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남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대관구 지도자를 맡았다.

한스 켈르는 1935년 신설된 종교 대신을 1941년 사망할 때까지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국회 제1부의장, 돌격대 대장을 맡았다.

헤르만 무스는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종교 대신 대행을 맡았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종교성 차관이었다.

프리츠 토트는 1940년부터 1942년 사망할 때까지 군수 대신(1940년-1943년: 병기・탄약 대신, 1943년-1945년: 군비・전시 생산 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돌격대 대장, 공군 소장을 맡았다.

알베르트 슈페어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군수대신을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제국 수도 건설 총감을 맡았다.

알프레트 로젠베르크는 1941년 신설된 동부 점령 지역 대신을 1945년까지 역임하였다.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당원이었으며, 대외 정책 전국 지도자를 맡았다.

무임소 대신으로는 헤르만 괴링, 루돌프 헤스, 에른스트 룀, 한스 켈르, 한스 프랑크, 히알마르 샤흐트,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마르틴 보르만, 빌헬름 프리크, 콘스탄틴 히어를, 한스 하인리히 라머스가 있었다.

각료 대우 국무 대신으로는 카를 헤르만 프랑크오토 마이스너가 있었다.

5. 1. 아돌프 히틀러 (총리)

1933년 1월 30일,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에 의해 독일국 총리로 임명된 아돌프 히틀러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나치당)의 지도자였다. 그는 1934년부터 총리와 당의 지도자를 겸임하는 형태의 총통이 되었고, 1938년부터는 국방군 최고 사령관, 1941년부터는 육군 최고 사령관이 되어 정부 직책 외에도 군의 직책을 맡게 되었다. 히틀러는 1945년 스스로 목숨을 끊을 때까지 총리직을 맡았다.

5. 2. 헤르만 괴링

헤르만 괴링1933년 히틀러 내각에서 무임소 장관을 맡았다. 그는 또한 프로이센 자유주 내무 장관을 겸임하며 나치당의 권력 장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괴링은 항공 대신 겸 공군 최고 사령관이 되어 독일의 재무장과 전쟁 수행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는 1937년부터 1938년까지 경제 대신을 역임하기도 했다.

5. 3. 요제프 괴벨스

1933년 1월 30일 아돌프 히틀러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요제프 괴벨스는 국민 계몽·선전 대신으로 임명되었다. 괴벨스는 나치당의 선전 전국 지도자이자 베를린 대관구 지도자였다.

5. 4. 하인리히 힘러

하인리히 힘러는 나치당 소속으로,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내무 대신을 역임했다. 그는 친위대 전국 지도자이자 전 독일 경찰청장을 겸임했으며, 1944년부터는 독일 국방군의 국내 예비군 사령관도 맡았다. 힘러는 친위대 전국지도자로서 나치 테러 통치의 핵심 인물이었으며, 1943년 내무장관에 임명된 후 경찰력을 장악하고 강제 수용소 운영 등을 주도했다.

5. 5. 프란츠 폰 파펜

프란츠 폰 파펜은 보수파 정치인으로 히틀러 내각 초기 부총리를 맡았다. 그러나 점차 권력을 잃고 1934년에 사임했다. 그는 무소속이었으나, 전에는 중앙당 소속이었고, 이후 나치당에 입당했다. 남작 작위를 가진 퇴역 육군 중령 출신이며, 총리를 역임한 경력이 있다. 또한 프로이센 총독을 겸임했다.

6. 한국과의 관계

7. 평가 및 유산

7. 1. 부정적 평가

7. 2. 역사적 교훈

8. 뉘른베르크 재판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국제 군사 재판소는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히틀러 내각을 범죄 조직으로 기소했으나, 결국 범죄 조직이 아닌 것으로 판결되었다.[26] 나치 정권 붕괴 당시, 히틀러를 포함한 일부 내각 구성원들은 자살했고, 일부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그러나 생존한 구성원들은 국제 군사 재판소에 의해 전쟁 범죄로 개별 기소되었으며, 괴링, 폰 리벤트로프 등 8명은 사형, 되니츠, 푼크 등 6명은 투옥, 샤흐트 등 2명은 무죄 판결을 받았다.[26] 이 외에도 장관 재판 등 후속 재판에서 마이스너를 제외한 다수가 유죄 판결을 받았고, 일부는 독일 탈나치화 법정에 소환되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Hitler: A Biography https://books.google[...] Norton
[2] 웹사이트 The Brown Plague: Travels in Late Weimar & Early Nazi Germany https://archive.org/[...]
[3] 웹사이트 Reichsregierung ohne Reich http://einestages.sp[...] SpiegelOnline
[4] 문서
[5] 서적 The Third Reich in Power Penguin Books 2005
[6]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II, Chapter XV: Criminality of Groups and Organizations, pp. 91-94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7]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II, Chapter XV: Criminality of Groups and Organizations, p. 95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8]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IV, pp. 704-705, Document 2075-PS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9] 서적 The Hitler State: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hird Reich Longman Inc.
[10] 뉴스 High Reich Official Held: Gereke, Job Creation Commissioner, Suspected of Embezzlement. 1933-03-24
[11]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Third Reich Da Capo Press
[12] 서적 The Hitler State: The Foundation and Developmen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hird Reich Longman Inc.
[13] 웹사이트 Reichstagsprotokolle, 1932,3 https://www.reichsta[...] 1933-02-01
[14] 서적 Leaders of the SS & German Police R. James Bender Publishing
[15] 뉴스 Reich Changes Food Minister 1944-04-07
[16] 서적 Hitler's Germany: Origins, Interpretations, Legac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웹사이트 Nuremberg Judgement on Schacht https://avalon.law.y[...] 2021-03-16
[18] 서적 SS Elite: The Senior Leaders of Hitler's Praetorian Guard Fonthill Media LLC
[19] 뉴스 Hitler Made Chancellor of Germany but Coalition Cabinet Limits Power 1933-01-31
[20]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V, pp. 542-543, Document 2879-PS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21]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IV, p. 724, Document 2097-PS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22]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IV, pp. 552-553, Document 1915-PS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23]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IV, p. 725, Document 2098-PS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24]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Volume IV, pp. 725-726, Document 2099-PS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25] 뉴스 Gestapo Rule in Germany, Himmler's New Post 1943-08-25
[26] 웹사이트 Nazi Conspiracy and Aggression, Opinion and Judgment, Chapter VII: The Accused Organizations, pp. 104-105 https://www.loc.gov/[...] Office of United States Chief of Counsel For Prosecution of Axis Criminality 1946
[27] 문서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